중국에서 무려 3천만 명의 남성이 배우자를 구하지 못해 '피동적 독신'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수십 년간 지속돼 온 남아 선호 사상의 비극입니다. <br /> <br />12일 현지 매체 경제관찰보에 따르면 중국인구학회 부회장인 위안신 난카이대 교수는 최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"지난 40년간 중국은 심각한 성비 불균형을 겪었다"며 "이로 인해 3,000만 명 이상의 남성은 중국 여성을 아내로 맞이할 수 없는 처지"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1982년 중국의 출생성비(여아 100명당 남아 수)는 108.5로, 적정 성비의 상한선인 107을 넘었으며 2004년에는 121.2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'한 자녀 정책'이 폐지되고 남아 선호 사상이 사그라들면서 2021년엔 108.3까지 떨어졌지만 성비 불균형은 여전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1980년~2021년 중국에서 태어난 7억 9,900만 명의 연간 평균 출생성비는 114.4로, 이 기간에 태어난 남성이 여성보다 약 3,500만 명 많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 중 적어도 3,000만 명 이상은 중국 내에서 배우자를 찾지 못해 원치 않더라도 독신으로 지낼 수밖에 없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위안 교수는 "이런 상황은 남성들이 배우자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에 몰리면서 '차이리'(결혼식 때 신랑이 신부 측에 주는 지참금) 등 결혼에 드는 비용이 증가하고, 안정적인 가정 유지가 도전을 받게 돼 이혼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"생리적 욕구를 해소하려는 독신 청장년기 남성들로 인한 치안 사건으로 사회적 안정을 해치고, 배우자나 후손이 없는 이들의 불안정한 노후 생활이 사회 문제가 될 수 있다"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특히 "출생성비는 자연스럽게 해소되지 않는다"며 "성비 불균형 해소를 위해 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하고, 국가 통합의 관리 모델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작 : 이선<br /><br />YTN 서미량 (tjalfid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3091313554820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